http 통신 할 때 항상 이런것들이 있구나~ 하고 어렴풋하게 인지만 하고 넘어갔는데, 해당 메서드의 필요로 하는 인자값이 왜 필요로 하는지 등을 짚고 넘어가지 않으면 기억에 오래 남지 않는 것 같아서 기본적인 것들은 숙지해두자는 취지로, 오늘은 Node.js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http response.writeHead()에 대한 간략한 공부를 해보고 넘어가겠다. response.writeHead(statusCode, headers) statusCode : http 통신 후 받은 response의 상태코드를 특정. 서버로부터 특정한 상태코드를 받으면 어떤 식으로 반응할 것이다. 라고 했을 때 특정한 상태코드 중 '어떤 것' 에 대한 정의를 하는 파라미터 Status Code 막간 상식 2XX : Su..
[Node.js/http] http response.writeHead()의 인자값들
http 통신 할 때 항상 이런것들이 있구나~ 하고 어렴풋하게 인지만 하고 넘어갔는데, 해당 메서드의 필요로 하는 인자값이 왜 필요로 하는지 등을 짚고 넘어가지 않으면 기억에 오래 남지 않는 것 같아서 기본적인 것들은 숙지해두자는 취지로, 오늘은 Node.js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http response.writeHead()에 대한 간략한 공부를 해보고 넘어가겠다. response.writeHead(statusCode, headers) statusCode : http 통신 후 받은 response의 상태코드를 특정. 서버로부터 특정한 상태코드를 받으면 어떤 식으로 반응할 것이다. 라고 했을 때 특정한 상태코드 중 '어떤 것' 에 대한 정의를 하는 파라미터 Status Code 막간 상식 2XX : Su..
2024.03.23